본문 바로가기
질환에 대해서

통풍과의 연결 고리

by think4525 2025. 2. 22.
728x90
반응형

통풍에 관하여 앞선 포스팅에서 알아보았는데요. 이러한 통풍이 과연 다른 질환들과의 관계가 있을지에 대한 궁금증이 있습니다. 통풍은 단순한 관절염이 아니라 전신적인 대사 질환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고혈압, 당뇨병, 신장 질환과 같은 대사 증후군과 밀전한 관계가 있으며,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심혈관 질환과 만성 신부전까지 악화될 위험이 있습니다.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통풍과 고혈압
  2. 통풍과 당뇨병
  3. 통풍과 신장 질환
  4. 통풍과 심혈관 질환
  5. 결론 및 요약

1. 통풍과 고혈압 - 요산과 혈압

요산이 혈압을 올린다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과연 사실일지 확인해보겠습니다.
고혈압 환자의 25~50%가 고요산혈증을 동반합니다. 또한 요산 수치가 높으면 혈관이 손상되어 혈압이 상승할 사능성이 큽니다.

  • 요산이 신장 혈관을 손상시키면 혈압이 올라갑니다.
  • 이뇨제 사용 시 요산 배출이 감소하여 통풍 위험이 증가합니다.
  • 고혈압 환자는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해 요산 배출이 어렵습니다.

즉, 고혈압과 통풍은 서로 악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합니다. 그렇기때문에 고혈압 환자는 정기적으로 요산수치를 확인해야하고, 통풍 환자는 혈압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2. 통풍과 당뇨병 - 인슐린 저항성과 요산 수치

인슐린 저항성은 당뇨와 연관이 되어있습니다. 그렇기에 당뇨병과 통풍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병 환자의 50%이상이 요산 수치가 높습니다. 요산과 인슐린 정항성(혈당 조절 기능 저하)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면 요산 배출이 감소합니다.
  • 고요산혈증이 있으면 인슐린 기능이 약해져 당뇨병 위험이 증가합니다. 
  • 당뇨 환자는 신장 기능이 저하되어 요산 배출이 어려워집니다.

통풍과 당뇨병은 함께 관리해야 하는 질환입니다. 혈당이 높은 사람은 요산 수치도 정기적 체크가 필요하며, 통풍 환자는 혈당 관리에 신경 써야 합니다.

3. 통풍과 신장 질환 - 신장이 망가지면 통풍 악화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요산 배출이 어려워져 통풍이 악화됩니다. 통풍 환자의 40%가 만성 신장 질환(CKD)를 동반합니다.

  • 신장이 나빠지면 요산 배출이 줄어들어 혈중 요산 농도가 상승합니다.
  • 통풍으로 인해 신장결석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통풍 치료제(알로푸리놀, 페북소스타트)는 신장 보호 효과가 있습니다.

신장 건강이 나쁘면 통풍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신장 기능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아야 하며, 충분한 수분 섭취로 요산 배출을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4. 통풍과 심혈관 질환 - 통풍과 심장병 위험 증가

통풍 환자는 심장병과 뇌줄중 위험이 2배 증가 합니다.
요산이 혈관 벽을 손상시키고 염증을 유발하여 심혈관 질환을 악화시킵니다.

  • 요산이 혈관을 손상시켜 동맥경화 유발 가능성이 증가합니다.
  • 고혈압, 당뇨병과 함께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입니다.
  • 심장병 환자는 통풍 약물 복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즉, 통풍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심장 건강도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혈압, 콜레스테롤, 혈당을 함께 관리해야 합니다.

5. 결론 및 요약

지금까지 알아본 통풍과 관련된 질환을 간단히 리마인드해서 정리하겠습니다.

  • 고혈압 - 요산이 신장 혈관을 손상시켜 혈압이 상승합니다.
  • 당뇨병 - 인슐린 저항성이 증사하면 요산 배출이 어렵습니다.
  • 신장 질환 - 신장이 망가지면 요산이 배출되지 않아 통풍 악화됩니다.
  • 심혈관 질환 - 통풍이 동맥경화를 촉진하여 심장병 위험이 증가합니다.

통풍은 단순한 관절염이 아닙니다. 전신적인 대사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통풍과 함께 혈압, 혈당, 신장기능을 함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질환에 대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두통이 올때  (0) 2025.02.25
편두통이 뭘까.?  (0) 2025.02.23
완치에 한걸음 (통풍)  (0) 2025.02.20
통풍을 보면서.!  (0) 2025.02.19
알아야 한다! 당뇨 합병증  (0) 2025.02.14